반응형
반응형
코드 버전 관리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형상관리 툴 중 가장 대표적인 깃허브는 내 코드를 누구나 볼 수 있는 Public과 나만 볼 수 있는 Private으로 구분되며 추후 목적에 따라 접근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.
만약 팀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면 깃허브를 통해 서로의 코드를 공유하고 수정할 수 있으므로 협업할 때 매우 유용하다.
제일 처음 생성 시 Private이었던 저장소를 Public으로 변경해보자.
깃허브 로그인 후 저장소에 가면 상단 카테고리 중 마지막에 Settings가 있다.
Settings 클릭 > 가장 하단부분에 빨간 테두리로 표시된 Danger Zone이 있는데 여기에서 첫 번째 부분인
Change repository visibility의 Change visibility 버튼을 클릭
그럼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모두에게 공개하는 저장소로 변경할 예정이니
체크할 부분은 Make public 그대로 두고 confirm 칸 위에 Please type A to confirm. 에서 밑줄친 부분을 그대로 입력
입력하면 자동으로 빨간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활성화가 되고 비밀번호 입력하는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.
깃허브 계정 비밀번호 입력 > Enter
그럼 레파지토리 접근권한이 변경되었다!
제대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내 저장소 목록을 보면
기존에 저장소명 옆에 표시되었던 Private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eetCode] 알고리즘 문제 & 풀이 사이트 (0) | 2021.10.11 |
---|---|
[오픈클래스] NAVER DEVELOPER OPEN CLASS 2020 (0) | 2020.08.13 |
[RoboZZle] 재미있는 코딩게임 로보즐 :D (0) | 2020.08.11 |
[Q-Net]월간 시험일정 및 국가기술자격(정기/상시) 일정 캘린더 (0) | 2020.05.11 |
[한국장학재단] 국가장학금 신청을 위한 홈페이지 URL (3) | 2020.05.05 |
댓글